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FK
- jmap #jstack
- test #비교
- Swap Memory
- Python #pakage
- lvm #lv #vg #pv
- function #사용자 정의 함수
- PODS #POD #pods #pod #파드 #재기동 #롤링재기동 #rolling
- jgrp000032 #ocp #
- Linux #wc
- lenova #레노버 #노트북
- shell #shell script
- DB #mariaDB #SQL
- istio #k8s #kubernetes
- dify
- NameSpace #NS
- EKS
- 티스토리챌린지
- dump #jattach
- 네트워크 #NW
- Grid #CSS
- 백준 #10430
- Excel #엑셀
- publishnotreadyaddress
- CI #CD #CI/CD
- bootstrap #css #CSS
- Node #POD #Container
- 오블완
- OCP
- Kafka #카프카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84)
BEOM_IT
# 붕대감기 PCCP 1번 기출 # t초동안 붕대감고 1초마다 x 만큼 체력회복 # t초 연속 붕대감기 성공하면 y 만큼 추가체력회복 # 최대 체력보다 커지는 것은 불가능 공격 당하면 성공 초기화 # bandage 는 시전시간,초당 회복량,추가회복량 # health 는 최대 체력 # attacks는 몬스터 공격시간과 피해량 # 입출력에 맞춰 코드를 짜보자 # 일단 반복문을 짤꺼야 그런데 몬스터의 마지막 공격을 구해서 반복하자 # pop 함수를 사용해 마지막 index를 추출 time 을 구했다 # 현재 체력 에서 연속성공과 공격맞아서 초기화 # 배열의 배열값을 꺼내야한다.. # pop 함수를 사용하니... 배열값이 사라진다... # 배열 slice 사용 [-1]로 max값 꺼내온다. # 체력이 0밑으로 ..
# 조건 문자열 # 문자열에 따라 두 수의 크기를 비교 # ineq / eq 가 주어지고 # ineq 는 둘 중 하나 # eq 는 = ! 둘중 하나 # 두 정수 n / m 이 주어질 때 ineq / eq의 조건에 맞으면 1 아니면 0 return # f 스트링으로 한번 전개해보자 # f 스트링으로 한번에 나열한건 좋았는데 계산이 되나? # 구글링을 해보니 eval 을 사용하면 f스트링 값이 계산이된다. # 비교연산자로 true/false로 나오니 1 0 으로 변경해주자 # if 문과 int 두 방법이 있다 def solution(ineq, eq, n, m): print(f"{n}{ineq}{eq}{m}") if eq == "!": result = eval(f"{n}{ineq}{m}") elif e..
# pcce 기출6번 가채점 # 한줄만 바꿔서 문제 해결하기 def solution(numbers, our_score, score_list): answer = [] for i in range(len(numbers)): print (i," iiiiiiii") print(numbers[i],"nn") print(our_score[i],"ourrrr") print(score_list[i],"listttt") # if numbers[our_score[i]]=score_list[i]: # 변경 if our_score[i] == score_list[numbers[i]-1]: answer.append("Same") else: answer.append("Different") return answer print(solu..
# 홀짝에 따라 다른 값 반환하기 # 양의 정수 n 이 변수로 주어질 때 # 홀수이면 n 이하의 홀수의 합을 리턴 # 짝수이면 n 이하의 짝수의 제곱의 합을 리턴 # 반복문을 돌려 n 이하의 수를 구하고 # 조건문을 이용해 i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확인 # 더해주고 제곱을 더해줬더니 홀수값 짝수값이 섞임 # 조건 추가 n 도 짝수인지 홀수인지 추가 def solution(n): answer = 0 for i in range(n+1): if n%2==1 and i%2==1 : answer+=i elif n%2==0 and i %2==0: answer+= (i*i) return answer print(solution(10)) print(solution(7))
# 진료순서 정하기 # 응급도에 따른 순서 구하기? # 배열의 크기를 순번으로 바꿔주기 # cnt를 두고 그거를 늘리면 되는거 아닌가? # 생각해보니까 정렬이 좀더 좋은거 같다... # 일단 배열을 순차 정렬해보자 # 정렬 후 배열을 반복해 index의 위치를 찾기 # 순차 정렬을 진행해서 그런지 낮은순으로 나옴 # reverse()를 사용해 역순으로 def solution(emergency): ans =[] for i in emergency: cnt=1 for j in emergency: if i
# 외계행성의 나이 # 이상한 행성에 갔는데 나이가 알파벳이다 # a=0 b=1 c=2 23=cd 51=fb # age가 주어질때 알파벳 나이를 리턴 # 아스키코드ascii -> 문자 chr() # 문자열 -> 아스키코드로 ord() # age => 문자열로 변경 후 for 문으로 한자씩 나눠 chr def solution(age): answer = '' for i in str(age): #print(chr(age)) #print(i) #print(chr(int(i)+97)) answer += chr(int(i) + 97) return answer print(ord("a")) # 0 + 97 print(ord("j")) print(solution(23)) #cd
# 배열 자르기 # 배열과 정수 2개가 매개변수 배열의 n1 부터 n2 까지 자른 배열 리턴 # numbers 배열을 n1 부터 n2+1까지 def solution(numbers, num1, num2): return numbers[num1:num2+1] print(solution([1, 2, 3, 4, 5],1,3)) # [2,3,4] print(solution([1, 3,5],1,2)) #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