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afka #카프카
- EKS
- Grid #CSS
- Excel #엑셀
- Linux #wc
- EFK
- dump #jattach
- DB #mariaDB #SQL
- dify
- NameSpace #NS
- 백준 #10430
- shell #shell script
- 오블완
- OCP
- bootstrap #css #CSS
- CI #CD #CI/CD
- PODS #POD #pods #pod #파드 #재기동 #롤링재기동 #rolling
- istio #k8s #kubernetes
- 티스토리챌린지
- Node #POD #Container
- lvm #lv #vg #pv
- publishnotreadyaddress
- test #비교
- lenova #레노버 #노트북
- Python #pakage
- 네트워크 #NW
- function #사용자 정의 함수
- jmap #jstack
- jgrp000032 #ocp #
- Swap Memory
- Today
- Total
목록잡다한 IT (8)
BEOM_IT
- 단축키 Alt + Shift + 방향키 : 열 편집 모드 Ctrl + Shift + 방향키 : 해당 열 이동(eclipse의 Alt + 방향키와 같음) Ctrl + L : 한 줄 삭제 Ctrl + D : 한 줄 복사 Ctrl + I : 줄 나누기 Ctrl + J : 줄 합치기 Ctrl + Alt + Enter : 현재 줄 위에 빈 줄 삽입 Ctrl + Alt + Shift + Enter : 현재 줄 아래에 빈 줄 삽입 Ctrl + U : 소문자 변환 Ctrl + Shift + U : 대문자 변환 Ctrl + W : 닫기 Ctrl + Shift + W : 모두 닫기 Ctrl + Shift + T : 최근 닫은 파일 복원 Ctrl + Q : 주석 생성 및 제거 Ctrl + K : 한 줄 주석 생성 Ctr..
- 마우스 드래그로 지정한 영역은 자동으로 클립보드에 복사되며 마우스 우측 클릭시 붙여넣기가 자동으로 된다. CTRL+TAB 순서대로 탭전환 CTRL+SHIFT+TAB 역 순서대로 탭전환 CTRL+F4 활성화 된 탭 닫기 ALT+1 (2, 3, 4, 5, 6, 7, 8, 9, & 0) 입력한 번호 순서의 탭으로 전환 ALT+Q Quick Connect 탭을 연다 ALT+C Connect 탭을 연다 ALT + B Connect 변경 del 키 뒷 글자 지우기로 변경 Tools -> Keymap Editor -> Del 버튼 클릭 후 Map Selected Key… \e[3~ 입력후 Save
1. Page up / down Key 키로 Scroll Bar 움직이도록 옵션 변경 -> Tools -> Key map Editor -> 키 선택 후 Map Seletected Key.. 선택 후 원하는 Function 을 선택 하면 된다. 2. 터미널 글자 색 color 바꾸기 -> Option -> Session Option -> Emulator -> Terminal -> 리눅스를 ANSI로 바꾸고 ANSI Color 를 체크한다. 3, 터미널 버퍼 늘리기 -> Option -> Session Option -> Emulator -> Scrollback buffer 용량 늘리기.
서식복사 ctrl +shift+ c 서식붙히기 ctrl +shift+ v 행 열 변경 복사 -> 붙히기 옵션 -> transpose 파일 실행 단축키 설명 key 통합문서 종료 AltF4 인쇄하기 CtrlP 다른 이름으로 저장 F12 통합문서 저장 CtrlS 통합문서 열기 CtrlO 새 통합문서 만들기 CtrlN 일반 단축키 설명 key 차트 시트 만들기 AltF1 이전 작업 반복 F4 찾기 및 바꾸기(바꾸기) CtrlH 찾기 및 바꾸기(찾기) CtrlF 선택하여 붙여넣기 CtrlAltV 셀(범위) 붙여넣기 CtrlV 셀(범위) 잘라내기 CtrlX 셀(범위) 복사하기 CtrlC 다시 실행 CtrlY 실행 취소 CtrlZ 도움말보기 F1 시트 편집 단축키 설명 key 화면 확대/축소(마우스) Ctrl마우스..
$ vi ~/.bashrc export PATH="home/test/bin/" $ source ~/.bashrc 명령어들로 환경변수를 영구 적용시키기 위해 bashrc 에 집어넣고 적용 시켰을경우 PATH가 꼬여 bash명령어가 적용이 안되는 경우가 생긴다. 계속 명령어 입력시( ls, find, vi ... ) command not found 뜨는 경우 위와같은 경우이다. 이럴경우,,, 보통 bash의 경우 PATH 지정경로가 일정하므로 $ export PATH=/usr/bin:/bin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PATH 적용 되어 기본 명령어 사용가능해진다. 다시 vi ~/.bashrc
kubernetes 에서 $ kubectl edit 명령으로 Deployment 설정 변경을 시도. 새로운 volume과 configMap을 추가한 후 :wq 명령으로 저장하고 나왔는데 edit 편집내용이 저장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함. error: deployments.apps "unbound" is invalid A copy of your changes has been stored to "/tmp/kubectl-edit-4ssjm.yaml" error: Edit cancelled, no valid changes were saved. 이 내용을 구글링 한 결과 kubernetes의 버그라는 말과 함께 Deployment에 설정되어있는 imagePullPolicy: 부분을 모두 주석처리 해준 뒤 저장해보면..

1.8G이상의 USB를 준비한다. 2.마이크로 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3. USB를 꽂고 설치 미디어를 설치한다. 4. 노트북에 꽂는다.! 5.끝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F10키를 누른다. 프로롬프트 화면이 실행되면 taskmgr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작업관리자에서 자세히를 클릭하고 네트워크 연결 흐름을 선택 후 작업 끝내기를 클릭하면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이 해결방법이 적용이 되지않는다면?shift+F10을 누른다 ( 이것도 안될시 Fn+shift+F10 ) 둘 중 하나가 된다면,, oobe\bypassnro 을 커맨드 창에 작성 후 에 재부팅이 되면 인터넷 연결 없음으로 넘어가기가 되면 완성shift + F10$ taskmgrshift + F10 or Fn + shift + F110$ oobe\bypassn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