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S 39

journalctl 명령어 사용

journalctl 이란? - systemd의 서비스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 systemd-journald.service에 의해서 systemd의 정보들을 분석한다. 옵션 -a :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있거나 매우 긴 경우에도 모든 Log 내용을 출력 -b : 마지막 부팅 후의 Log만 출력 -r : 최신항목이 먼저 표시되도록 역순으로 출력 -c : 커서가 지정한 저널의 위치부터 Log 표시를 시작 -f : 가장 최근 Log만 표시하고 새롭게 추가되는 Log는 계속 출력 -k : 커널 메시지만 출력 (dmesg랑 같음) -q : 일반 사용자로 실행될 때 접근할 수 없는 시스템 저널에 관한 경고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음 -u : unit으로 systemctl list-units에서 출력되는 첫번째 항목..

OS/Linux 2024.03.13

window 명령어

dir : 현재 디렉토리 파일 목록 표시 copy : 파일 복사 copy a.txt test a.txt파일 test dir으로 복사 del : 파일 삭제 type : 파일 내용 표시 linux의 cat ren : 파일의 이름을 변경 ren a.txt b.txt a.txt파일을 b.txt로 md : 디렉토리 생성 cd : 디렉토리 이동 cls : clear attrib : 파일 속성 변경 find : 파일에서 문자열검색 findstr : grep 문자열 가져오기 chkdsk : 디스크 상태점검 format : 디스크 표면을 트랙과 섹터로 나눠 초기화 move : 파일 이동

OS/Window 2023.10.10

Curl (Client URL) 명령어

curl 명령어는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URL 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때 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 SHELL(커맨드라인 환경)에서 REST API(http) 테스트 하고 싶으면 curl 명령어를 이용 Curl 설치 # ubuntu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curl # CentOS $sudo yum install curl Curl 명령어 Option short long 설명 -k --insecure 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 -i --head 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 -D --dump-header HTTP 헤더를 file에 기록 (덤프) -L --location HTT..

OS/Linux 2023.08.24

groups - 사용자 그룹

id : 현재 사용자 id/ gid/ group 확인. groups :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 확인. groups [사용자 아이디] : [사용자 아이디]가 속한 그룹 확인. 리눅스에서 그룹을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roupadd [그룹명] 특정 사용자를 해당 그룹에 넣으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usermod -g [그룹명] [사용자명] 그룹을 삭제 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roupdel [그룹명]

OS/Linux 2023.08.16

명령어 - MV (rm 대신 덮어쓰기..)

mv는 리눅스 명령행에서 파일을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너무나도 당연하게도 move의 줄임말이다. 간단하게 명령어와 원본파일 그리고 옮길대상(또는 변경될 파일 이름)을 나열하여 사용한다 기본 양식 - $ mv [옵션] [원본파일/디렉토리] [사본파일/디렉토리] 파일이동 파일을 옮기기 위해서는 mv 명령어 다음 원본파일을 입력하고, 그다음에 대상 디렉토리이름을 입력한다. -ex) $ mv test test_dir 위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test 이라는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인 'test_dir'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일명은 유지된다. 파일명 변경 대상 디렉토리명 대신 파일 이름을 입력하면 그 파일 이름으로 원본파일의 이름이 변경된다. -ex) $ mv ..

OS/Linux 2023.07.25

원격 시스템 관리를 위한 Telnet 서버설치

1. xinetd 와 telnetd 를 설치 apt -y install xinetd telnetd 2. 설정파일 편집 cd /etc/xinetd.d touch telnet -------> telnet 파일 없을 경우 gedit /etc/xinetd.d/telnet -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3. 텔넷 전용 사용자 생성 adduser [userName] 4. 서비스 기동 systemctl restart xinetd 5. 방화벽 설정(포트 오픈) ufw allow 23/tcp..

OS/Linux 2023.07.25

명령어 - sed

stream editor sed는 "stream editor"의 약자로, 파일 편집을 자동화하는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주로 파일 내용에서 특정 패턴을 찾아서 다른 패턴으로 바꾸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sed는 명령행 인자로 받은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주어진 패턴을 찾아서 다른 패턴으로 바꾸거나 삭제하거나 복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때, 기존 파일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출력으로만 결과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sed를 사용하여 파일을 수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새로운 파일을 만들거나, 리디렉션을 이용해서 기존 파일을 덮어쓰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sed 's/hello/world/' example.txt 명령어를 실행하면 example.txt 파일의 hello 라는 문자열을 world..

OS/Linux 2023.07.18

jattach 없을경우 dump 파일 생성

jattach가 없을경우 jmap / jstack을 이용해 dump 파일을 생성한다. jstack 경로 = opt/java/openjdk/bin 기억안나면 env | grep java jmap을 사용해 heap dump 생성 $ jps -v JVM의 PID를 확인 $ jmap -dump:format=b,file=[filename].hprof [PID] heap dump 파일 생성 $ jmap -heap [PID] heap 메모리 사용정보 확인 jstack을 사용해 thread dump 생성 $ jstack -l [PID] >> [filename].log pstack을 사용해 프로세스 스택 생성 $ pstack $[PID] >> [filename].txt

OS/Linux 2023.07.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