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트워크 #NW
- dify
- CI #CD #CI/CD
- jgrp000032 #ocp #
- Excel #엑셀
- OCP
- lenova #레노버 #노트북
- Python #pakage
- PODS #POD #pods #pod #파드 #재기동 #롤링재기동 #rolling
- Node #POD #Container
- Linux #wc
- function #사용자 정의 함수
- shell #shell script
- test #비교
- lvm #lv #vg #pv
- dump #jattach
- bootstrap #css #CSS
- istio #k8s #kubernetes
- Grid #CSS
- 백준 #10430
- DB #mariaDB #SQL
- EFK
- Kafka #카프카
- Swap Memory
- 티스토리챌린지
- jmap #jstack
- 오블완
- publishnotreadyaddress
- EKS
- NameSpace #NS
- Today
- Total
목록OS (44)
BEOM_IT
크롬 단축키 ctrl + t 탭 열기 ctrl + w 탭 닫기 ctrl + tab 탭 이동 window 빠른실행 파일탐색기 win + E 실행창 win + R
curl 명령어는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URL 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때 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 SHELL(커맨드라인 환경)에서 REST API(http) 테스트 하고 싶으면 curl 명령어를 이용 Curl 설치 # ubuntu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curl # CentOS $sudo yum install curl Curl 명령어 Option short long 설명 -k --insecure 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 -i --head 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 -D --dump-header HTTP 헤더를 file에 기록 (덤프) -L --location HTT..
id : 현재 사용자 id/ gid/ group 확인. groups :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 확인. groups [사용자 아이디] : [사용자 아이디]가 속한 그룹 확인. 리눅스에서 그룹을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roupadd [그룹명] 특정 사용자를 해당 그룹에 넣으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usermod -g [그룹명] [사용자명] 그룹을 삭제 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roupdel [그룹명]
mv는 리눅스 명령행에서 파일을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너무나도 당연하게도 move의 줄임말이다. 간단하게 명령어와 원본파일 그리고 옮길대상(또는 변경될 파일 이름)을 나열하여 사용한다 기본 양식 - $ mv [옵션] [원본파일/디렉토리] [사본파일/디렉토리] 파일이동 파일을 옮기기 위해서는 mv 명령어 다음 원본파일을 입력하고, 그다음에 대상 디렉토리이름을 입력한다. -ex) $ mv test test_dir 위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test 이라는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인 'test_dir'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일명은 유지된다. 파일명 변경 대상 디렉토리명 대신 파일 이름을 입력하면 그 파일 이름으로 원본파일의 이름이 변경된다. -ex) $ mv ..
1. xinetd 와 telnetd 를 설치 apt -y install xinetd telnetd 2. 설정파일 편집 cd /etc/xinetd.d touch telnet -------> telnet 파일 없을 경우 gedit /etc/xinetd.d/telnet -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3. 텔넷 전용 사용자 생성 adduser [userName] 4. 서비스 기동 systemctl restart xinetd 5. 방화벽 설정(포트 오픈) ufw allow 23/tcp..

stream editorsed는 "stream editor"의 약자로, 파일 편집을 자동화하는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주로 파일 내용에서 특정 패턴을 찾아서 다른 패턴으로 바꾸는 작업에 사용됩니다.기본 예제sed [option] [command] [file]옵션설명-p 행을 출력한다(-n 옵션과 함께 사용할 경우, 선택된 행만 출력한다.)-d 선택한 행을 삭제한다.-f 파일 안의 내용을 실행한다.'s/가/나/g''가' 문자열을 '나' 문자열로 대체한다.-e다중 편집을 한다.-qsed를 종료한다.연산자메타문자의미예제설명^라인의 처음/^tomcat/tomcat으로 시작하는 모든 라인들$라인의 끝/tomcat$/tomcat로 끝나는 모든 라인들.하나의 문자 매칭, 하지만 newline 문자는 제외/t….t/ *..
jattach가 없을경우 jmap / jstack을 이용해 dump 파일을 생성한다. jstack 경로 = opt/java/openjdk/bin 기억안나면 env | grep java jmap을 사용해 heap dump 생성 $ jps -v JVM의 PID를 확인 $ jmap -dump:format=b,file=[filename].hprof [PID] heap dump 파일 생성 $ jmap -heap [PID] heap 메모리 사용정보 확인 jstack을 사용해 thread dump 생성 $ jstack -l [PID] >> [filename].log pstack을 사용해 프로세스 스택 생성 $ pstack $[PID] >> [filename].txt
jattach 경로 /usr/bin/jattach OpenShift 덤프 뜨는 방법 jattach 사용 $ jattach [pid] dumpheap /srv/logs/dumps/test-heap.hprof 반드시 /srv/logs/dumps밑에 떠야 한다 (권한이 거기만 존재) Thread Dump 뜨는법 jattach [pid] threaddump > test-threaddump.logs.1 추가로,, 덤프 Pods->bst $ k cp -n [NS] [Pods]:/[경로]/[파일] [저장할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