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Algorithm84

[programmers]python 12951 JadenCase #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 모든단어 첫글자가 대문자로 # 문자열을 공백으로 나누고 원소를 슬라이싱해서 upper랑 lower로 변환? def solution(s): answer = '' ans=[] sp=s.split(' ') # print(s,len(s)) for i in range(len(sp)): answer+=sp[i][0].upper() # 앞글자 대문자 answer+=sp[i][1:].lower() # 전체 소문자 ans.append(answer) answer='' # print(s) answer=' '.join(ans) # join으로 합치기 return answer # 열심히 풀었지만... 답은 간단했다,... python ㅁㅊㄴ # title() : 문장의 모든 단어의 첫 글.. 2024. 2. 5.
[programmers]python 12910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 arr의 각 요소중 divisor로 나누어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 # 배열을 배열로 돌려서 divisor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0이면 배열에 담고 정렬 # arr의 마지막 요소까지 갔는데 0으로 안나눠지면 ==> 배열이 비었다면 -1 리턴 def solution(arr, divisor): answer = [] # print(arr[-1:]) for i in arr: if i % divisor == 0: answer.append(i) if answer==[]: answer.append(-1) return sorted(answer) print(solution([5, 9, 7, 10],5)) # [5,10] print(solution([3,2,6],10)) # -1 2024. 1. 25.
[programmers]python 12919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seoul의 배열중 kim의 위치 x 를 찾아 반환하는 함수 # index로 찾아 format으로 넣어버리자 def solution(seoul): x=seoul.index("Kim") # print(x) return "김서방은 {}에 있다".format(x) print(solution(["Jane", "Kim"])) # "김서방은 1에 있다" 2024. 1. 25.
[programmers] python 86051 없는 수 더하기 # 없는 숫자 더하기 # 0-9 까지 숫자중 일부가 들어있는 정수 배열에서 찾을수 없는 0-9까지를 모두 더한 수를리턴 # 다른이 풀이 보는데 45-sum(numbers) 좋은데...? def solution(numbers): answer = 0 for i in range(0,10): if i in numbers: pass else: answer+=i return answer print(solution([1,2,3,4,6,7,8,0])) # 14 =9,5 2024. 1. 25.
[programmers]python 12935 제일 작은 수 제거 # 제일 작은수 제거 # 가장작은 수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하고 배열이 비었으면 -1 리턴 # 역 정렬 하면 다시 변수에 담아야 한다. # 아 정렬이 아니라 그 자리 수를 없애야 하는구나? # 다음에 다시 짠다면 return [i for i in arr if > min(arr)] 으로 min 함수를 사용해보자 def solution(arr): i=sorted(arr,reverse=True) min=i.pop() if min in arr: arr.remove(min) # 빈 배열 if arr==[]: arr= [-1] return arr print(solution([4,3,2,1])) #[4,3,2] print(solution([10])) #[-1] print(solution([1,2,3,4])) #[2,3.. 2024. 1. 25.
[programmers]python 12912 두 정수 사이의 합 # 두 정수 사이의 합 # 두 정수 a,b가 주어졌을때 a-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 # 반복문 시점만 생각하면되나? # sum(range()) 함수를 처음보는데 이거 좋네 def solution(a, b): # answer = 0 # if a > b: # for i in range(b,a+1): # answer+=i # elif b> a: # for i in range(a,b+1): # answer+=i # elif a==b: # answer=a # return answer # 다르게 풀면 a>b 크면 두개를 바꿔주고 범위만큼 더한다? 개사기 ㅇㅈ if a> b: a,b=b,a return sum(range(a,b+1)) print(solution(3,5)) #12 print(solutio.. 2024. 1.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