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ublishnotreadyaddress
- jgrp000032 #ocp #
- Grid #CSS
- OCP
- 오블완
- lvm #lv #vg #pv
- Python #pakage
- Excel #엑셀
- lenova #레노버 #노트북
- 티스토리챌린지
- dump #jattach
- istio #k8s #kubernetes
- 백준 #10430
- 네트워크 #NW
- bootstrap #css #CSS
- Node #POD #Container
- EKS
- DB #mariaDB #SQL
- Linux #wc
- test #비교
- NameSpace #NS
- Kafka #카프카
- Swap Memory
- EFK
- dify
- PODS #POD #pods #pod #파드 #재기동 #롤링재기동 #rolling
- jmap #jstack
- CI #CD #CI/CD
- shell #shell script
- function #사용자 정의 함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5)
BEOM_IT
# 덧칠하기 # 페인트 칠해진 길이가 n미터인 벽 # 페인트 벗겨진곳 덧칠하기(일부만 칠하기) # 1미터 길이의 구역 n개로 나누고 1 - n까지 번호를 붙히고 # 페인트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 m미터 이고 # n의 길이의 벽을 m의 길이를 가진 롤러로 칠하는데 section의 벽을 칠해야함 # 어떻게 풀어야 할까>>>??? n이 최대 길이인데 m만큼 칠한다..인데 배열의 수가 포함이여야한다. # 덧칠하는 시작점을 잡고 반복해서 풀면 코드도 간단해지고 정확하다. def solution(n, m, section): answer = 1 # 칠하는 횟수 paint = section[0] # 덧칠 시작점 for i in range(1, len(section)): # 섹션 길이만큼 반복 if section[i] >..
# 순서쌍구하기 # 두개의 수의 곱이 n이 나오도록 하는수중 몇개가 나오나 # 최대로 나올수있는수는 n의 수 # 반복문으로 길이만큼 # 시간초과???? 너무 생각을 복잡하게했다... def solution(n): answer = 0 # 정방향 하나 역방향 하나를 구현해 코드 시간을 줄이자 for i in range(1,n+1): # range(start,end,step)구조로 step에 -1를 넣으면 역순 # reversed(range(n+1)) 같은 형식으로 reversed로도 사용 가능 # for j in range(n,0,-1): # if i*j == n: # print(i,j,"i와j") # answer+=1 # break if n % i == 0: answer += 1 # print(i) ret..
#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 숫자 문자열 t,p가 주어질때 t에서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중 # 이 부분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것 return # p의 길이만큼 t의 문자열을 나누고 그 나눈 문자열중 p보다 작은 문자열 수를 return # t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배열에 담고 그 배열을 하나씩 비교하자.. def solution(t, p): answer = 0 # 낮은 문자열 수 # print(len(p)) # 문자열 길이 a=[] b='' cnt=0 # print(len(t),len(p)) for i in range(len(t)): # t 길이만큼 반복 for j in range(len(p)): # p 길이만큼 반복 if cnt-1 ==len(t)-len(p): ..
# 제곱수 판별하기 # 어떤 자연수를 제곱했을때 나오는정수 = 제곱수 # n 이 주어질때 제곱수면 1 아니면 2 # n 이 제곱수인지를 판단하려면 ??? # 제곱수... 4 9 16....등등 # 반복문 후 i의 제곱값이 n과 같은지 def solution(n): for i in range(n): if i**2==n: # print(i) return 1 return 2 print(solution(144)) print(solution(4)) print(solution(6))
# 코드처리하기 # code를 앞부터 읽으며 문자가 1이면 mode 변경 # mode에 따라 code를 읽으며 문자열 ret 생성 # mode는 0 / 1 이 있으며 idx 를 0부터 code 길이 -1 까지 키워나가며 # code[idx] 값에 따라 행동 # 0일때 code[idx]가 1이면 idx가 짝수일때만 ret의 맨뒤에 code[idx] 추가 # 1일때 code[idx]가 1이면 idx가 홀수일때만 ret의 맨뒤에 code[idx] 추가 # 시작은 0 # 문자열 추가는 + / 배열에서의 추가는 append # 길이만큼 빼고 모드를 나눠 처리.. def solution(code): ret = '' mode=0 for i in range(0,len(code)): if mode==0 : if code..
# 배열 원소의 길이 # strl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진다. # 배열속 문자열의 크기를 배열로 return # 난이도가 생각보다 쉬우니.. 더 간편하게 짜볼까? # list와 map으로 묶으면 라인으로 끝낸다 def solution(strlist): answer = [] for i in strlist: answer.append(len(i)) return answer def sol(strlist): return list(map(len,strlist)) print(sol(["We", "are", "the", "world!"]))
#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 n 이 주어지면 n x n 배열을 만듬 근데 # 나선형으로 배치하는??? 어떻게 하는겨... # 이번적인 배열은 완성... 그런데 나선형? # 아니면 2차원 배열에 하나씩 넣어보자 # 일단 배열을 초기화 해주고 # 순서에 때려박어 def solution(n): if n ==1 : return [[1]] # 배열 초기화 answer=[[0 for j in range(n)]for i in range(n)] x=0 # x/y 값을 초기화 해서 하나씩 집어넣자 y=0 case = 6 # 키패드 방향키 순 4862 for i in range(n*n): answer[x][y]= i+1 # 일단 옆으로 한줄 if case == 6: y +=1 if y == n-1 or answer[x][y..
# 신고결과 받기(92334) # 문제가 참 길다... # 각 유저는 한번에 한명의 유저를 신고 가능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 할수 있지만 동일 유저에 대한 신고는 1회로 처리 # k 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이용 정지 이후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메일 발송 # return 값은 id_list의 담긴 id 순서대로 받은 메일 수를 담아 리턴 # report의 누가 누굴 신고했는지 나눠야한다. # 이거를 어떻게 처리하지? # 반복문으로 배열을 하나씩 출력해서 문자열로 나오면 배열로 나눠보자 # k 번 이상 신고 먹으면 신고한 사람한테 메일 가기 # set은 list의 중복을 제거한 집합을 만듬 def solution(id_list, report, k): cnt={x:0 for x in id_list} # ..
# 주사위게임 2 # 1 - 6 까지 주사위가 세걔 # 각 a,b,c일 때 모두 다르면 a+b+c # 두개만 같다면 (a+b+c)*(a^2+b^2+c^2) # 모두 같다면(a+b+c)*(a^2+b^2+c^2)*(a^3+b^3+c^3) # 제곱은 a**2 세제곱은 a**3으로 표현 가능하다는걸 깨달았다. def solution(a, b, c): sum=(a+b+c) sum2=(a*a)+(b*b)+(c*c) sum3=(a*a*a)+(b*b*b)+(c*c*c) if a==b==c: return int(sum*sum2*sum3) elif (a!=b and b==c or a==c) or (a!=c and b==c or a==b) or (b !=c and b==a or c==a): return int(sum*sum..
# 옹알이(1) # 머쓱이 태어난지 6개월된 조카 돌보는중 # 애기는 힙해서 "aya" "ye" "woo" "ma" 4가지 발음가능 # babbling이 변수로 주어질때 발을할수있는 단어개수 return # 배열을 반복해 in 함수로 찾아볼까했는데 계속 예상 결과와 다르게 나와 뭐지.. 했는데...a # 문제를 잘못읽었네.... 요지는 한 단어를 다 읽나 못읽나이네... # 그렇다면 어떻게 짜야지? 뭘 어케짜 천천히 짱구를 굴려보자 # 일단 일치시 정답은 완성 # 단어를 합쳐서 만들어봐야지... # word를 공란에두고 한글자씩 받아와서 배열안의 글자와 맞으면 초기화 시키자 # 어차피 단어 전체에 발음이 가능해야하니... #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시작부터 다르면 초기화시켜버리자 def solution(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