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grp000032 #ocp #
- bootstrap #css #CSS
- lvm #lv #vg #pv
- CI #CD #CI/CD
- istio #k8s #kubernetes
- Swap Memory
- 오블완
- publishnotreadyaddress
- 티스토리챌린지
- 네트워크 #NW
- function #사용자 정의 함수
- Linux #wc
- Node #POD #Container
- lenova #레노버 #노트북
- dump #jattach
- NameSpace #NS
- Python #pakage
- Kafka #카프카
- Grid #CSS
- shell #shell script
- EKS
- PODS #POD #pods #pod #파드 #재기동 #롤링재기동 #rolling
- test #비교
- EFK
- dify
- OCP
- DB #mariaDB #SQL
- Excel #엑셀
- jmap #jstack
- 백준 #10430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5)
BEOM_IT
curl 명령어는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URL 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때 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 SHELL(커맨드라인 환경)에서 REST API(http) 테스트 하고 싶으면 curl 명령어를 이용 Curl 설치 # ubuntu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curl # CentOS $sudo yum install curl Curl 명령어 Option short long 설명 -k --insecure 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 -i --head 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 -D --dump-header HTTP 헤더를 file에 기록 (덤프) -L --location HTT..
- 마우스 드래그로 지정한 영역은 자동으로 클립보드에 복사되며 마우스 우측 클릭시 붙여넣기가 자동으로 된다. CTRL+TAB 순서대로 탭전환 CTRL+SHIFT+TAB 역 순서대로 탭전환 CTRL+F4 활성화 된 탭 닫기 ALT+1 (2, 3, 4, 5, 6, 7, 8, 9, & 0) 입력한 번호 순서의 탭으로 전환 ALT+Q Quick Connect 탭을 연다 ALT+C Connect 탭을 연다 ALT + B Connect 변경 del 키 뒷 글자 지우기로 변경 Tools -> Keymap Editor -> Del 버튼 클릭 후 Map Selected Key… \e[3~ 입력후 Save
1. Page up / down Key 키로 Scroll Bar 움직이도록 옵션 변경 -> Tools -> Key map Editor -> 키 선택 후 Map Seletected Key.. 선택 후 원하는 Function 을 선택 하면 된다. 2. 터미널 글자 색 color 바꾸기 -> Option -> Session Option -> Emulator -> Terminal -> 리눅스를 ANSI로 바꾸고 ANSI Color 를 체크한다. 3, 터미널 버퍼 늘리기 -> Option -> Session Option -> Emulator -> Scrollback buffer 용량 늘리기.
서식복사 ctrl +shift+ c 서식붙히기 ctrl +shift+ v 행 열 변경 복사 -> 붙히기 옵션 -> transpose 파일 실행 단축키 설명 key 통합문서 종료 AltF4 인쇄하기 CtrlP 다른 이름으로 저장 F12 통합문서 저장 CtrlS 통합문서 열기 CtrlO 새 통합문서 만들기 CtrlN 일반 단축키 설명 key 차트 시트 만들기 AltF1 이전 작업 반복 F4 찾기 및 바꾸기(바꾸기) CtrlH 찾기 및 바꾸기(찾기) CtrlF 선택하여 붙여넣기 CtrlAltV 셀(범위) 붙여넣기 CtrlV 셀(범위) 잘라내기 CtrlX 셀(범위) 복사하기 CtrlC 다시 실행 CtrlY 실행 취소 CtrlZ 도움말보기 F1 시트 편집 단축키 설명 key 화면 확대/축소(마우스) Ctrl마우스..
로컬에서 POD 안으로 복사 $ kubectl cp 디렉토리/파일이름 POD이름:디렉토리/파일이름 POD에서 로컬로 file 복사 $ kubectl cp namespace pod이름:디렉토리/파일이름 /옮길 디렉토리/파일이름 namespace와 pod이름 사이에 /를 넣으면 에러가 나서 띄어쓰기로 썼는데, 혹시 안되면 / 한 번 넣어보기 경로는 절대경로!!
각 컨테이너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해서, 문제가 있는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거나 또는 문제 있는 컨테이너를 서비스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헬스 체크라고 하며 컨테이너가 살아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Liveness probe, 컨테이너가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Readiness probe가 있다. Readniness probe는 Container 안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할 준비가 되면 쿠버네티스에게 알리도록 설계 되어 있다. 서비스가 Pod로 트래픽을 보내기 전에 Readiness probe 검사 단계가 통과되어야만 해당 pod로 트래픽을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Liveness probe는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Kuberne..
제약조건 :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규칙 domain 제약조건 : 특정 속성의 값이 그 속성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은 널 값을 가질 수 없는 규칙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 외래키는 참조할 수 없는 값을 가질 수 없는 규칙 -but : 외래키 속성이 null을 가진다 해서 참조 무결성을 위반한 것은 아니다. -restricted(제한을 둔다) :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고자 할때 참조하고 있는 개체가 있다면 취소 -casecade :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면 참조개체도 변경 또는 삭제 -setnull :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면, 해당 레코드를 참조하고 있는 개체의 값을 null로 설정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어떤의미로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 인스턴스(instance):릴레이션 인스턴스의 모음(메모리에 올려져 있다/실제 저장되어있는 행들) 튜플=행 ↓ 열 → 릴레이션의 특성 튜플의 유일성 - 하나의 관계에 같은 튜플X 튜플의 무순서 - 상관없다. 속성의 무순서 - 상관없다. 속성의 원자성 - 원자값(쪼갤수 없을정도로)으로 사용할수있다. 릴레이션에서 튜플들을 유일하게 구별하는 속성or 속성들의 집합 유일성(uniqueness) - 하나의 키 값으로 하나의 튜플만 유일하게 식별 최소성(minimality) - 꼭 필요한 최소한의 속성들로만 키를 구성 기본키(primary key) : 후보키중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키 후보키(candidate key) :..

데이터 모델링이란? 복잡한 데이터를 단순화 시켜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 개념적 데이터 모델 -사람의 머리로 이해하도록 현실세계를 개념적 형태로 모델링해 DB의 개념적 구조로 표현 논리적 데이터 모델 -개념적 구조를 논리적 형태로 모델링해 DB의 논리적 구조로 표현 모델링의 3가지의 특징 -추상화(Abstraction) : 간단히 표현 (현실세계를) -단순화(Simple) : 쉽게표현 (누구나 쉽게 이해) -명확성(Clarity) : 의미가 제대로 해석 (한가지 의미를 가진다) 개체와 개체가 맺고 있는 의미 있는 연관성을 관계라고 하고 관계를 갖는 테이블들을 관계(relationship)이라고 한다. 간단하게 테이블과 테이블간의 연관성 관계의 종류와 다이어그램의 모양 일대일관계 (1:..

튜플 = 행(레코드) 애트리튜브 = 속성 domain = 속성의 값을 제한 DB = 디스크,usb DBMS = DB를 관리하기 쉽게 해주는 프로그램 ex(Oracle,Mysql) -정의 : 데이터의 형과 구조 설정 -조작 : 데이터를 갱신 삽입 삭제등 -제어 : 보안을 유지하고 권한을 검사 DDL(구조) = 생성(create) 변경(alter) 삭제(drop)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DML(데이터) = 삽입(insert) 조회(select) 변경(update) 삭제(delete)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DCL(권한) = 부여(grant)/회수(revoke) 구조>>데이터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