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Linux] ls (list) 명령어
beomzh
2023. 7. 6. 10:08
728x90
반응형
ls는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list) 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명령어입니다.
- 전체 이름: list
- 기능: 지정한 디렉토리나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폴더 목록을 출력
- 기본 사용법: ls [옵션] [경로]
- 경로를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에서 내용을 나열합니다.
명령어설명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폴더 목록을 출력 |
ls -l | 상세 정보(long format)를 포함해 출력 (권한, 소유자, 크기, 날짜 등) |
ls -a | 숨김 파일(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들: .git, .bashrc 등)도 함께 출력 |
ls -la 또는 ls -al | -l과 -a 옵션을 함께 사용 (상세 정보 + 숨김 파일 포함) |
ls -lh |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 (KB, MB 등) |
ls -lt | 수정된 시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 (최근 수정된 파일이 먼저) |
ls -ltr | 시간 기준 정렬 + 역순 (가장 오래된 파일이 먼저) |
ls [dir_name] |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출력 |
ls *.txt | 현재 디렉토리 내의 .txt 확장자를 가진 파일만 출력 (글로벌 패턴 사용) |
추가 아무말 끄적
ll: RedHat Linux인 rhel에서는 기본으로 내장된 ll은 시스템에서 ls -l의 별칭(alias)입니다.
- (사용 중인 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직접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쉘(bash,zsh)등 의 run command에 넣어서 사용하면됩니다.
# bash shell 기준
echo "alias ll='ls -al'" >> ~/.bashrc
source ~/.bashrc
컬러 출력: ls --color=auto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유형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구분이 쉬워집니다.
echo "alias ll='ls -al --color=auto'" >> ~/.bashrc
728x90
반응형